티스토리 뷰
전자식 acc / gyr에 대해서만 간략히 서술
acc
1. 물체에 가속 a = F/m이 걸리면,
2. 위 그림과 같이, 스프링처럼 걸려있는 movable mass에게 F = ma가 걸린다.
3. 물체의 위치가 바뀌고
4. 커페시터(비슷한) 센서의 정전용량(배터리 용량)이 바뀐다.
-> 정전용량 C=εA/d인데, d가 바뀌기 때문이다
--> ε : 물질별 상수
--> A : 판의 넓이
--> d : 판간 거리
5. 한편 acc 내부 센서는 Q = CV -> V = C/Q를 통해 전압을 측정할 수 있고,
6. C가 변하므로 변화한 전압을 측정하면 가속을 얻을 수 있다.
7. 위를 3축에 대해서 측정하면 3축 가속을 얻을 수 있다.
gyr
1. 질량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동하게게끔 에너지를 공급해준다. 이 때 속도는 알고있다.
2. 물체에 회전이 걸리면 병진운동하는 저 질량체에 코리올리 힘이 걸린다. F = 2m v (cross) omega
-> 회전하는 좌표계 위에서 병진운동할때 걸린다.
3. 반대 방향으로 진동하므로 코리올리 힘에 의해서도 반대방향의 힘이 걸린다.
4. 이때 acc와 마찬가지로 정전용량이 바뀌고 전압을 측정하여 코리올리 힘을 얻고,
5. F = 2m v (cross) omega에서 omega를 얻을 수 있다.
6. 3축에 대해 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acc, gyr은 전기적 불안정성 때문에 측정치는 노이즈 외에 바이어스를 갖는다.
노이즈는 정규분포로 모델링 가능하다.
-> 매우 큰 주파수 성분
바이어스에 대해서는, 바이어스의 미분을 정규분포로 모델링 가능하다.
-> 느리게 변한다.
-> 이 변화는 랜덤워크라 한다.
--> 동전을 100번 던지면 항상 앞 50, 뒤 50이 나오는게 아닌라, 53/47 이렇게 나오는데,
---> 이런 편차(3)를 평균에 대한 랜덤워크라 하는 것이다.
--> 따라서 바이어스는 이런 편차라 할 수 있다.
IMU로 포즈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
acc 2번 적분, omega 1번 적분 하면 되는데,
-> roll, pitch의 경우 중력 성분으로 글로벌 일관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acc의 경우 바이어스를 2번 적분하는 셈이기 때문에 발산해버릴 위험이 너무 크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acc, gyr 바이어스를 추정해야 한다.
IMU 혼자서는 이게 힘들고, cam, lidar, GNSS 등과 센서퓨전하여 바이어스를 얻는다.
-> 칼만필터기반, 최적화 기반 등이 있다.
--> 칼만필터로 바이어스를 모델링하거나
--> IMU 적분값에 대한 bias들의 자코비안을 구해, 최적화하며 바이어스를 얻을 수 있다.
'기타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S 정리 (0) | 2023.02.13 |
---|---|
leetcode 문제풀이 (0) | 2023.02.11 |
자율주행에 쓰이는 기법들 정리 (0) | 2023.01.29 |
최적화 정리 (0) | 2022.06.14 |
수학 정리 (0) | 2022.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