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tlab과 연립방정식, 미분방정식, 미적분 등을 numerical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배운다. PBL 수업이라 실습을 상당히 많이 했다. 최종텀프는 로봇팔 inverse kinematics를 350회 푸는 것인데, 나는 동기들과는 달리 loop 말고 vectorization을 썼다. (350 반복 말고도 행렬곱을 수행할때도) SIMD를 배울 때 좋은 양분이 될 것같다. 컴공과 수치해석은 포트란으로 배우는 것같다. 얘네는 좀 더 속도를 우선시하는 것같은데?? 궁금하다. 나는 hw가속에 매우 관심이 많다. CUDA, 멀티 프로세싱, SIMD 근데 이게 안다고만 되는게 아니라 컴퓨터 구조에 빠싹해야하는것 같다. 멀티프로세싱으로 병렬처리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 뮤텍스, 캐시공유 문제 등등 신경써야 할 게 많다..
학교 공부 정리
2022. 6. 14. 03:38

학교에서 배운 디지털신호처리다. 더 배우고 싶어서 들었다. 모든 신호는 주파수(사인, 코사인)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로 이 신호들을 처리하는 방법, 주의점, 알고리즘, 그리고 필터에 대해 알려주는 수업이다. w, 복소, z영역에서의 해석도 배운다. 제어, 시스템 모델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수업인듯 하다. 사실 후반부를 제대로 못나가서 아쉬웠다. 필터설계에 대해 더 배우고 싶다. 이 과목을 베이스로 디지털 이미지 처리라는것이 있는데, 이미지처리, 쉽게 말하면 opencv의 원리같은 걸 다루는 수업 같다. 이것도 더 배우고 싶다.
학교 공부 정리
2022. 6. 14. 03:16